Choi Jinkyu

David,
I never thought I would write a eulogy for you.
I have a twitter account, which I basically created to read your tweets. But I never got used to Twitter, so I left the account active only to check it only once in a while. But when I did, I would always check your account. The only thing I did on my twitter account was to send a direct message to you.

When I was editing the Korean translation of Fragments of an Anarchist Anthropology (아나키스트 인류학의 조작들), I sent you a direct message to ask you to write a forward for the Korean edition. I still have these messages on my account. You told me that you could not write it because you had too many things. While I felt a bit sad, I also felt unexplainably happy and relieved. In Fragments of an Anarchist Anthropology, there is an account of cab drivers in New York City. The account goes, when they are lucky to earn enough money for the day early, they would go home rather than work more. I did not want to plead you to write beyond what was sensible to you.
You write about the difference between play and game in The Utopia of Rules(관료제 유토피아), contrasting “play” which is both creative and destructive and “game” that is purely controlled by rules. We feel at ease and enjoy the latter, once we accept the rules. But the more we give up play and are drawn by game, the narrower the space of freedom and care, replaced by the “the utopia of rules.” We don’t need to say much to know what sort of people would take the power in the world dominated by rules. Having said that, personally I still have a lot to learn to imagine without fear. So I will remember your gift for a long time, various plays that are both creative and destructive. And I will happily do likewise, ruminating on the gifts you have left with us.
Thank you, David.

— Choi Jinkyu, the editor, Korean translation of Fragments of Anarchist Anthropology


데이비드,
당신을 위한 추도문을 쓰게 될 줄은 생각조차 못했어요.
저도 트위터 계정이 있는데, 당신의 트윗을 읽기 위해 만든 것이었지요. 저는 트위터에 적응하지 못했어요. 계정만 살려 놓고 아주 가끔 들어가 보는 게 전부인데, 아주 가끔 들어갈 때면 꼭 당신 계정을 찾아가보곤 했지요. 제가 트위터 계정을 만들고 한 유일한 활동이 당신에게 쪽지를 보낸 것이네요.
<아나키스트 인류학의 조각들 Fragments of an Anarchist Anthropology> 한국어판을 편집할 때, 당신에게 한국어판 서문을 써달라는 내용의 쪽지를 보낸 적이 있지요. 그때 당신과 주고받은 쪽지가 아직 남아 있어요. 당신은 너무 많은 일들 탓에 글을 쓰기가 어렵다고 답을 주었지요. 저는 그 쪽지를 받고서 아쉬운 마음 한편으로 왠지 모를 기쁨과 안도감이 들었어요. <아나키스트 인류학의 조각들>에 보면 뉴욕의 택시기사 일화가 나오잖아요. 운 좋게 하루 벌이를 일찍 달성한 택시기사는 더 일하는 대신 일찍 퇴근한다는 이야기 말이에요. 저는 당신에게 무리해서라도 꼭 글을 보내달라는 부탁은 하고 싶지 않더라고요.
당신은 <관료제 유토피아 The Utopia of Rules>에서 놀이(play)와 게임(game)의 차이를 말했지요. 창조적이며 동시에 파괴적인 속성의 ‘놀이’와 순전히 규칙에 의해 통제되는, 그래서 규칙을 받아들이고 나면 맘 편히 즐길 수 있는 ‘게임’의 차이를요. 우리가 놀이를 포기하고 게임을 선호할수록 자유와 돌봄의 공간은 줄고 대신 그 자리를 차지하는 건 ‘규칙들의 유토피아’이겠지요. 규칙들이 지배하는 세상에서 누가 권력을 가질지는 말 안 해도 뻔하고요.
저는 두려움 없이 상상하는 방법을 아직도 많이 익혀야 해요. 당신이 선물해준 창조적이고 파괴적인 놀이들을 오래오래 기억할게요. 그리고 신나게 따라하겠어요.
당신이 전해준 많은 선물들을 되새기며.
고마워요. 데이비드.

──최진규 (<아나키스트 인류학의 조각들> 한국어판 편집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