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di

The invitation to the David Graver Memorial Carnival proclaims that
“he had 50,000 brothers and sisters and 200,000 best friends”.

However, this is a memory from someone who never quite became a friend despite meeting him multiple times.

David visited Korea in 2006. At that time, a struggle was occurring to resist the project to destroy a rural village called “Daechuri” in order to build a US military base, and I was captivated by that struggle. It was also around the time when I got enthralled with the ideas of anarchism and with movements of freely assembled individuals as opposed to more hierarchical and structured movements.
David visited an alternative academic community that I had been involved in for a number of years, but I somewhat missed the event. My friend told me, “David is a really fascinating person. He’s an anthropologist and an incredibly active anarchist activist. You should meet him, you’d really like him.”

So I invited him to meet with the media activist group I was working with at the time. I imagined that we would casually discuss activism and the movement over drinks like we often did when interacting with anarchist/media activist groups from overseas. However, David and his entourage arrived later than expected, appearing rather exhausted due to their long trip to Daechuri. When they were notified that a (surprise) farewell party had been organized at the aforementioned community, they ended up leaving early. And so, we were thwarted by poor timing once again.

In 2013, I had quit my job and was working on my master’s research. While writing my thesis, I found myself captivated by his books and papers. His definition of “communism” instantly resonated with me. It was like someone had organized and expressed all of the ideas and feelings I had held although subtly. David’s “communism” became the most formative ideology that I ended up referring to in my master’s thesis.

When I began my PhD program in geography in 2017, David happened to be a faculty member in the Anthropology Department at the school I was attending. In my first year of coursework, I attended his class “Value Theories in Anthropology”. It was so much fun. He always came to class with disheveled hair, often wearing a shirt with something stained on it (once his shirt was buttoned up unevenly!). As if he couldn’t control the thoughts coming out of his head, he would tell jokes (many students didn’t even get that he was joking) and then laugh by himself.

The following year, I impulsively visited him and told him that I was planning to do ethnographic research on autonomous movements in East Asia. He spoke of his memories of visiting Japan and Korea (though he didn’t remember our brief meeting). After about an hour of a very interesting conversation, he even offered to act as my second supervisor, were that permissible (due to administrative issues in the school). For one reason or another, that never came to be and after that I left London to conduct my fieldwork.

That was two years ago. But, I felt confident that, as I was steadily, little by little, connecting with his friends through various networks and projects, we would inevitably end up crossing paths again. I had no doubt that it would happen.
That is why, when I heard about David’s death, I was overwhelmed with feelings of… Regret that we never got to share a drink or meal together. Disappointment that we never truly had the joy of communism in which we were raucously sharing stories, jokes, and ideas over foods and drinks. If only we could have met one more time. We were only 2mm away from becoming friends. Once the regret subsided, I was overcome with the painful tragedy of the loss of a scholar who had, through the words and lives of those outside the West, made it clear that capitalism was by no means a world to be taken for granted.

Dear David, who had 50,000 brothers and sisters and 200,000 friends,
I never did get to share a drink with you. But, I’m making friends with more and more of your friends. We’ll gather together to “live as if we are already free”, laughing and drinking and continuing to fight. Throughout all of those moments, your words will give us strength. And so I say to you…

Rest in power. And, cheers, my star-crossed comrade!

— Didi, in Tokyo


데이비드 그래이버 추도 카니발에의 초대장에 의하면,
“그를 만난 사람들은 즉시 그의 가까운 친구가 되었다. (…) 그는 5만명의 형제자매, 20만명의 절친을 가졌다.”
에.. 또.
그러나 이 글은 몇번이나 그를 만났음에도 불구하고 친구가 되지는 못했던 자의 기억.

첫 만남은 2007년. 당시 한국에선 “대추리”라는 시골마을이 미군기지가 되는 것에 저항하는 싸움이 벌어지고 있었다. 나는 그 싸움에 꽤 마음을 기울이고 있었다. 조직운동이 아닌, 자유로운 개인들의 어셈블리로서의 운동, 아나키즘, 이런 것들에 마구 불타오르고 있던 시기이기도 했다. 데이비드가 한국을 방문한건 그런 와중이다. 내게 있어선.

데이비드는 내가 몇년간 활동했던, 우리들이 “연구실”이라고 불렀던 대안학문공동체를 방문했다. 그때 나는 생업과 액티비즘에 너무 바빠서 (?) 연구실은 거의 나가지 못하고 있는 와중이었지만, 연구실 친구로부터 이야기를 전해들었다. “데이비드는 꽤 재미있는 사람이야. 인류학자이고 엄청나게 액티브한 아나키스트 활동가다. 디디도 만나보면 분명 좋아할거야” 라고 친구는 말했다. 만나보고 싶다는 생각에, 어찌어찌 어렵사리 활동하고 있던 미디어 액티비스트 그룹에 그를 초대했다. 우리가 다른 나라의 아나키스트/미디어 액티비스트 그룹과 교류할 때 늘 그랬듯이, 느슨한 분위기로 한잔 하며 운동에 관련한 이야기를 나누는 자리를 상상했다.

그러나, 당일 피곤한 모습으로 약속시간보다 늦게 도착한 데이비드 일행은 연구실에서 (아마도 예정에 없던) 환송파티를 준비했다는 연락을 받고 일찍 자리를 떠야했다. 함께 온 한국측 일행분에게 들은 바로는, 그날 대추리를 방문한 터라 꽤 긴 하루이기도 했다고. 뭐, 타이밍이 안좋았달까.

2013년. 나는 직장을 때려치고 석사과정을 시작했다. 논문을 쓰다가 읽게 된 그의 책과 논문들에 홀딱 빠졌다. “코뮤니즘”에 대한 그의 정의는 너무나 곧장 내게 스며들어서, 마치 내가 원래 갖고 있던 생각/감각을 누군가가 말로 다 정리해놨네, 라는 기분이 들 정도였다. 데이비드의 “코뮤니즘”은 내 석사 논문이 참조한 가장 중심적인 사상이 되었다.

2017년. 나는 박사과정을 시작하였고, 같은 학교 인류학과에 데이비드가 있었다. 코스워크를 밟던 1년차에 나는 그의 “인류학에서의 가치론”수업을 청강했다. 너무 너무 재밌었다. 그는 언제나 헝크러진 머리에, 자주 뭔가가 묻어있는 셔츠 차림으로 수업에 들어왔는데 (한번은 단추가 삐뚤빼뚤 엇갈리게 잠긴 채였다!). 마치 머릿속에서 샘솟아나오는 생각들을 주체할 수 없다는 듯 주절주절 이야기를 하다가 문득 (많은 학생이 농담인지조차 이해하지 못한) 농담을 하고는 혼자서 흐흐 웃곤 했다.

이듬해, 박사논문의 프로포절을 완성한 나는 충동적으로 그를 찾아가, 동아시아의 자율운동에 대한 에스노그래피 리서치를 할 계획이라고 말을 걸었다. 그는 나와의 짧은 만남은 (물론) 기억하지 못했지만, 자신이 일본과 한국을 방문했을 때의 기억을 이야기 했다. 한시간 가량의 꽤 즐거운 대화 끝에 문득, (학교의 여러가지 행정적 문제들이) 괜찮다면 자신이 세컨드 수퍼바이저가 되어주겠다는 제안까지 했다.

이런저런 이유로 그의 제안은 결국 실현되지 않았고, 그 후 나는 필드워크를 위해 런던을 떠났다. 이것이 2년 전의 이야기. 그러나 여러 네트워크와 프로젝트 안에서 나는 꾸준히, 조금씩, 그의 친구들과 연결되고 있었기에, 우리는 곧, 어떤 경위로건 분명히 다시 마주칠 것이었다. 당연히 그럴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렇기에
데이비드의 사망 소식을 전해들었을 때의 황망함이란!

나를 가장 먼저 덮친 것은, 아, 아직 술 한잔 같이 마시지 못했는데, 밥 한번 같이 먹지 못했는데, 라는 아쉬움이었다. 떠들썩하게 나누는 공산주의/친구-되기의 즐거움을 정작 그와 제대로 나눠보지 못했다는 아쉬움. 단 한번만 더 만날 수 있었다면. 그러니까, 친구가 되기까지 딱 2미리정도가 남아있는 기분이었는데. 그 아쉬움이 잦아들고 나자 비로소, 자본주의는 결코 당연한 세계가 아니라는 걸 이토록 명쾌히, 서구 밖의 무수한 말과 삶들을 통해, 보여주고 있던 학자를 잃었다는 안타까움이 밀려들었다.

5만명의 형제자매, 20만명의 절친을 가진 데이비드.
한번도 너와 잔을 부딪치지 못했지만, 나는 점점 더 많은 네 친구들과 친구가 되고 있어. 우리는, 우리가 ”이미 자유로운 것처럼 살아가기 (live as we already free)” 위해서 함께 모이고 떠들썩하게 웃고 마시고 계속 싸울거야. 그 모든 순간, 너의 말들이 우리에게 힘을 주겠지. 그러니

Rest in power. And, cheers!

──디디, 도쿄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