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ing the time when we invited David for the International Workshop at our commune Suyu+Nomo in 2009, I met him several times in Korea as well as Japan. I need to confess, however, that I felt this distance from him at first. This was because I felt a not insignificant distance existed between myself and anarchism at the time, even though I had known David through signing the petition to renew his contract with Yale. So perhaps, I can say that I met him not because he was an anarchist but in spite of him being an anarchist.
Why did I do that? Because of friends. He was someone my friends cared for. And I cared for my friends. I received him as a friend, because I believe in the equation of friendship–“a friend’s friend is also a friend.” This equation is in accord with the relation of proximity rather than that of identity or similarity. I believe we can relate to each other in spite of our difference in tastes or thoughts in affirmation of this equation.
Come to think of it, David and I were at opposite poles. David did not like a theory that is named after an author such as Marxism or vanguard party that demanded discipline. I, on the other hand, encountered the books written by Marx when I was young and became embroiled in the unexpected life of becoming an underground Leninist, trying to establish an organization of professional revolutionaries. David was equally critical of the modish theories such as Foucault and Deleuze. In contrast, I was a theorist who had an eye opening experience encountering Deleuze and Guattari in place of Lenin after the collapse of the socialist states.
When we met in Seoul in 2009, we debated for a week with this not-so-small distance between us. Thanks to the affective equation of friendship, we could become closer. We then went on to debate twice in front of the public in Tokyo. All thanks to the joyful attraction David exuded, I came to appreciate his ideas expressed in words and text beyond the preexisting distance.
Each of us then followed our own path in life, never to meet each other again. He went far beyond the distance that can be encompassed in this life. Now that he is gone and I am rereading his books. And I realize belatedly that I have been an anarchist. The kinds of anarchists he spoke of. Yes, I have lived and thought with those books and authors dear to me. But as I have espoused autonomous and horizontal solidarity through building a community based on the principle of gift exchange rather than a vanguard party. If this was not anarchism, what is anarchism? We do still think by making use of theoretical concepts by the likes of Marx and Deleuze. But if we also try to form a life that is beyond capital and the powers that be, here and now, instead of entrusting our lives in the vacant hope for the future that is yet to come, are we not “creating a new form of sociality and acting as if we are already free” in the spirit of prefigurative politics? If we experiment with our affirmative spirit of diversion, believing in the power of imagining the outside beyond capital and state instead of trying to change the entire society in a single revolutionary act by seizing power from the state with a flag in hand in the name of science and truth, are we not already dipping our foot in “the anarchist politics of primitives” that David and his predecessors in anthropology spoke of? As I remember his words that he could understand anarchism of Malagasies after leaving Madagascar, I also feel how belated these realizations were. I dearly miss his presence in these realizations.
Once I was sharing tea with a friend, who was a scholar of China. As I poured hot water into a tea pot, he said, “Isn’t drinking tea like drinking time?” That’s right! This was something that sets apart drinking tea from drinking coffee, I thought. When you drink tea with someone, we drink time in common. Drinking time together, we share “useless” words and thoughts for no particular ends. I wish we could drink tea together like that. I wish we could drink time in common with him. I wish we could share useless imagination with him in such time of surplus. I wish we could share life that would be accused of uselessness by the society with him. But then, even in those moments, he would find important “possibilities,” as he always found importance in things that seemed so ordinary and useless, being the seer that he was. He would then wonderfully attract us yet again toward those possibilities. For that splendid power of attraction, I want to dedicate a cup of tea and beg his spirit to partake in it.
— Yi-jinkyung, Suyunomo104 member, Seoul
내가 그를 처음 만났던 건 2009년, <수유+너머> 국제워크숍 때였다. 하지만 그와 처음부터 가까웠던 건 아니었음을 고백해야겠다. 예일대 재임용 문제로 서명을 하면서 이름을 알게 되었지만, 아나키즘이란 당시 나로선 적지 않은 거리가 있었으니까. 그러니 나는 그를 아나키스트여서 만난 게 아니라 아나키스트임에도 만났던 셈이다. 왜? 친구들 때문이다. 내가 좋아하는 친구가 좋아하는 사람이었기 때문이다. ‘친구의 친구는 친구’라는 우정의 등식 때문에 나는 그를 친구로 맞아들였다. 이 등식은 동일성이나 유사성보다는 인접성 연관에 의해 이웃한 항들을 연결하기에, 취향이나 생각이 달라도 얼마든지 다른 사람들을 이어준다.
생각해 보면 그와 나는 정반대 편에 있었다. 그는 저자의 이름으로 명명되는 맑스주의 이론이나 규율을 강요하는 전위주의 정당을 싫어하지만, 나는 맑스라는 저자의 책에 휘말려 뜻하지 않은 삶을 시작했고, 직업적 혁명가 조직이 필요하다며 지하운동을 하던 레닌주의자였으니까. 그는 푸코, 들뢰즈를 거명하며 최신의 이론을 자랑하는 이론가들을 비판하는데, 나는 사회주의 붕괴 이후 레닌 대신 들뢰즈/가타리의 이론에서 다른 삶의 가능성을 발견했던 이론가였으니까.
그 작지 않은 거리를 두고서 나는 그와 서울에서 일주일간 토론했다. 우정의 등식 사이로 스며든 감응(affect) 덕에 많이 축소되었지만 여전히 사라지지 않은 거리를 사이에 두고 도쿄에서, 그것도 두 번이나 나란히 앉아 발표하고 토론했다. 다행히도 거리를 넘어서게 하는 기쁨의 인력이 컸기에 나는 그의 말과 글들을 곱씹었다.
이후 각자의 삶을 따라 멀어진 뒤에야, 아니 어쩌면 그가 다시 만날 수 있는 거리 저편으로 떠난 뒤에야, 그의 책을 다시 읽으며 나는 내가 그가 말하는 아나키스트였음을 알게 되었다. 여전히 좋아하는 ‘저자’들의 책을 끼고 살았지만, 전위정당 대신 증여에 기반한 공동체를 통해 자율적이고 평등주의적 연대를 향해 가고자 한다면, 그게 바로 아나키즘 아니면 무엇일 것인가? 여전히 맑스나 들뢰즈 같은 이들의 이론적 개념을 이용해 사유하고 있지만, 오지 않을 미래에 삶을 맡기는 공허한 희망 대신에 지금 여기의 시공 속에서 자본과 권력에서 벗어난 삶을 구성하고자 하고 있다면, “새로운 형식의 사회성을 창출하여 이미 자유로운 것처럼 행동”하는 ‘예시적 정치’와 무엇이 다를 것인가? 과학과 필연의 이름으로 사회 전체를 단번에 바꾸는 전복을 꿈꾸며 깃발을 들고 국가권력과 대결하는 저항 대신, 현행의 현실 바깥을 상상하는 상상력의 힘을 믿고 자본이나 국가의 외부를 창안하는 긍정적 이탈을 실험하고 있다면, 그레이버나 그의 선배 인류학자가 발견한 ‘원시인의 아나키즘 정치학’에 이미 발을 담그고 있는 것 아닌가? 마다가스카르를 떠난 뒤에야 그들의 아나키즘을 이해할 수 있었다는 그의 말이 불쑥 솟아오르며, 뒤늦은 깨달음 속으로 안타까움과 그리움을 불러들인다.
언젠가 차호(茶壺)에 물을 부으며 차를 내리는 내게, 같이 차를 마시던 중국학자 친구가 말했다. “차를 마시는 것은 시간을 마시는 것이지요.” 맞다! 그것이 차를 마시는 것이 커피를 마시는 것과 근본적으로 다른 점이다. 누군가와 같이 차를 마실 때, 우리는 ‘함께’의 시간을 마시는 것이다. 그렇게 시간을 마시며 ‘쓸데없는’ 말을 나누고 ‘쓸데없는’ 생각을 어떤 목적도 없이 섞는다. 그와 나란히 앉아 그렇게 차를 마시고 싶다. 그와 더불어 ‘함께’의 시간을 마시고 싶다. 그 잉여의 시간 속에서 쓸데없는 상상을 나누고 싶다. 쓸데없다고 비난받는 삶을 나누고 싶다. 보이지 않는 것에서 어떤 중요한 것을 읽어내는 그의 예리한 눈은 필경 그 쓸데없는 것들 속에서 무언가 중요한 ‘가능성’을 찾아낼 것이다. 그 가능성으로 그는 우리를 다시 멋지게 유혹할 것이다. 그의 멋진 유혹을 위해 ‘상향(尙饗)’이라는 제문(祭文)을 형식을 빌어 차를 바치고 싶다.
──이진경, 수유너머104 회원, 서울